맨위로가기

나바리노 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바리노 해전은 1827년 10월 20일,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 함대가 오스만-이집트 연합 함대를 상대로 승리한 해전이다. 이 해전은 그리스 독립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런던 조약에 따른 그리스 자치를 이끌어냈다. 연합군은 뛰어난 전력으로 오스만-이집트 연합 함대를 궤멸시켰고, 이로 인해 그리스는 독립의 발판을 마련했다. 그러나 해전 이후 연합국 내부에서는 코드링턴 제독의 과도한 행동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며, 그의 정치적 입지가 약화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바리노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나바리노 해전, 앙브루아즈 루이스 가르니 작
나바리노 해전, 앙브루아즈 루이스 가르니 작
날짜1827년 10월 20일
장소이오니아해, 펠로폰네소스반도 필로스 근처 나바리노만
관련 분쟁그리스 독립 전쟁
결과연합군의 승리
교전 세력
연합군영국
프랑스
러시아
적군오스만 제국
이집트
알제리
지휘관 및 지도자
연합군에드워드 코드링턴
로데비히 판 헤이덴
앙리 드 리니
적군아미르 타히르 파샤
모하람 베이
익명의 카피탄 베이
하산 파샤 알-이스칸다라니
전력
연합군전열함: 10척
프리깃함: 10척
슬루프: 4척
스쿠너: 2척
커터: 1척
총: 1,252문
승무원: 8,000명
적군전열함: 3척
프리깃함: 17척
코르벳함: 30척
스쿠너: 5척
브리그: 28척
화공선: 5~6척
총: 2,158문
승무원: 20,000명
사상자 및 피해
연합군사망: 181명
부상: 480명
적군사망 또는 부상: 4,000명
포로: 4,000명
함선 손실: 55척

2. 배경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영국오스트리아 제국은 다른 열강들의 개입을 막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6] 이들의 목표는 러시아 제국오스만 제국을 지원하는 것을 막고, 오스만 제국이 반란을 진압할 시간을 벌어주는 것이었다.[7]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반란을 진압하지 못했고, 불개입주의를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1825년 12월, 알렉산드르 1세가 사망하고 니콜라이 1세가 러시아 왕위를 계승하면서 외교적 지형이 변화했다. 러시아 민족주의 성향이 강했던 니콜라이 1세는 이전보다 단호한 입장을 취했다.

이에 영국 정부는 러시아의 팽창주의를 억제하기 위해 공동 개입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1827년 7월 6일,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런던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교전 당사자 간의 즉각적인 휴전을 요구했는데, 이는 사실상 오스만 제국이 승리하기 직전의 상황에서 그리스에 대한 군사 작전 중단을 요구한 것이었다. 또한, 휴전 이후 최종 해결을 위한 협상에서 연합국의 중재를 제공했다.[8] 조약은 오스만 제국이 그리스에 어느 정도 자율성을 부여하되, 궁극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 두는 것을 예상했다.[9]

조약의 비밀 조항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이 한 달 안에 휴전을 수락하지 않으면 각 서명국은 영사를 나플리온에 파견하여 헬레닉 공화국 정부를 사실상 승인할 수 있었다.[10] 또한, 서명국들은 지중해 해군 사령관들에게 오스만 제국이 지정된 시간 안에 조약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군사 행동을 포함한 "상황이 제안하는 모든 조치"를 취할 권한을 부여했다. 그러나 연합군 사령관은 분쟁에서 어느 한쪽 편을 들어서는 안 된다는 조항도 있었다.[11]

1827년 8월 20일, 영국 해군 지중해 사령관이자 트라팔가 해전의 영웅인 에드워드 코드리턴 경이 조약 시행에 관한 지시를 받았다. 그는 44년간의 해상 경력을 가진 베테랑이었지만, 외교적 수완이 부족하고 충동적인 성격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또한 그리스의 독립에 대해 동정심을 가지고 있었다.[12]

당시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 (터키)의 식민지였으며, 그리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을 일으켰다. 이 전쟁은 영국과 프랑스에서 상당한 국민적 지지를 얻었다. 러시아는 이전부터 터키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그리스와 러시아는 그리스 정교회러시아 정교회가 비록 세부적인 종파 차이는 있지만 같은 정교회 국가라는 종교적 연대감으로 그리스에 우호적이었다. 따라서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그리스 독립 전쟁에 개입하여 그리스 측에 서서 참전했고, 해군 함대 등 연합군을 파견했다. 이 3국 연합 함대는 영국군 사령관 에드워드 코드리턴의 지휘를 받았다.

반면 터키 측은 해상 봉쇄를 결정하고, 본국군 외에 사실상 식민지군이었던 이집트군까지 동원하여 방어에 나섰다. 터키-이집트 연합 함대는 지중해 이오니아해,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나바리노 만에 집결하여 철저한 항전을 시작했다. 터키-이집트군은 당시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 왕조 국왕 겸 터키의 이집트 총독이브라힘 파샤가 지휘했다. 그리고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군이 이곳으로 진입하면서 나바리노 해전이 시작되었다.

2. 1. 오스만 제국의 그리스 지배와 그리스 독립 전쟁 발발

오스만 제국은 15세기에 그리스가 지배하던 비잔틴 제국을 정복하여 영토와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차지하고 실질적인 계승국이 되었다.[2] 1821년, 그리스 민족주의자들은 그리스 독립 전쟁을 통해 4세기 동안의 오스만 제국 지배로부터 그리스 민족을 해방시키려 하였다.[3] 수년간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지만, 1825년까지 교착 상태에 빠졌다.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을 그리스 대부분 지역에서 몰아낼 수 없었고, 오스만 제국은 반란을 결정적으로 진압할 수 없었다. 그러나 1825년, 술탄은 교착 상태를 타개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명목상 봉신이었지만 실제로는 자치적이었던 이집트의 강력한 ''왈리'' (총독)인 무함마드 알리 파샤에게 서방식으로 훈련되고 장비를 갖춘 육군과 해군을 그리스에 투입하도록 설득했다. 그 대가로 술탄은 반란의 핵심 지역인 펠로폰네소스를 알리의 맏아들 이브라힘 파샤에게 세습 봉토로 약속했다. 1825년 2월, 이브라힘은 16,000명의 원정군을 이끌고 펠로폰네소스로 진격하여 곧 서부를 장악했다. 그러나 반란 정부가 있던 동부 지역(나프플리오)을 점령하는 데는 실패했다.[4]

그리스 혁명군은 계속 저항했고, 경험 많은 친헬레니즘 영국 장교들을 육군과 해군의 수장으로 임명했다: 리처드 처치 소령(육군)과 토마스 코크레인 경(해군). 그러나 이 시점에서 제1 헬레니 공화국의 육군과 해군은 오스만 제국 및 이집트 군에 비해 훨씬 열세였다. 1827년 그리스 정규군은 5,000명 미만이었고, 중앙 그리스에는 25,000명의 오스만 군, 펠로폰네소스에는 15,000명의 이집트 군이 있었다. 또한 그리스 정부는 사실상 파산 상태였다. 그들이 통제하는 얼마 안 되는 영토의 주요 요새 대부분이 오스만 제국의 수중에 있었다. 그리스가 굴복하는 것은 시간 문제인 것처럼 보였다.[5] 이 중요한 시점에서 그리스의 대의는 열강인 영국, 프랑스, 러시아가 공동으로 분쟁에 개입하기로 결정하면서 구원받았다.

2. 2. 오스만 제국과 그리스의 교착 상태

15세기에 오스만 제국은 그리스를 지배하던 비잔틴 제국을 정복하고 영토와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차지하여 실질적인 계승국이 되었다.[2] 1821년, 그리스 민족주의자들은 그리스 독립 전쟁을 통해 4세기 동안의 오스만 제국 지배로부터 그리스 민족을 해방시키려 하였다.[3] 수년간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지만, 1825년까지 교착 상태에 빠졌다.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을 그리스 대부분 지역에서 몰아낼 수 없었고, 오스만 제국은 반란을 결정적으로 진압할 수 없었다. 그러나 1825년, 술탄은 교착 상태를 타개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명목상 봉신이었지만 실제로는 자치적이었던 이집트의 강력한 왈리(총독)인 무함마드 알리 파샤에게 서방식으로 훈련되고 장비를 갖춘 육군과 해군을 그리스에 투입하도록 설득했다. 그 대가로 술탄은 반란의 핵심 지역인 펠로폰네소스를 알리의 맏아들 이브라힘 파샤에게 세습 봉토로 약속했다. 1825년 2월, 이브라힘은 16,000명의 원정군을 이끌고 펠로폰네소스로 진격하여 곧 서부를 장악했다. 그러나 반란 정부가 있던 동부 지역(나프플리오)을 점령하는 데는 실패했다.[4]

그리스 혁명군은 계속 저항했고, 경험 많은 친헬레니즘 영국 장교들을 육군과 해군의 수장으로 임명했다. 육군 수장은 리처드 처치 소령이었고, 해군 수장은 토마스 코크레인 경이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제1 헬레니 공화국의 육군과 해군은 오스만 제국 및 이집트 군에 비해 훨씬 열세였다. 1827년 그리스 정규군은 5,000명 미만이었고, 중앙 그리스에는 25,000명의 오스만 군, 펠로폰네소스에는 15,000명의 이집트 군이 있었다. 또한 그리스 정부는 사실상 파산 상태였다. 그들이 통제하는 얼마 안 되는 영토의 주요 요새 대부분이 오스만 제국의 수중에 있었다. 그리스가 굴복하는 것은 시간 문제인 것처럼 보였다.[5]

2. 3. 이브라힘 파샤의 참전

1825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은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이집트의 왈리(총독)인 무함마드 알리 파샤에게 군사 지원을 요청했다. 술탄은 펠로폰네소스반도를 알리의 맏아들 이브라힘 파샤에게 세습 봉토로 주겠다고 약속했다. 1825년 2월, 이브라힘 파샤는 16,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펠로폰네소스에 상륙하여 서부를 장악했지만, 동부 지역(나프플리오) 점령에는 실패했다.[4]

2. 4. 열강의 개입

1821년부터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초기 영국오스트리아 제국은 다른 열강들이 이 분쟁에 개입하지 않도록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6] 이들의 목표는 러시아 제국오스만 제국을 지원하는 것을 막고, 오스만 제국이 반란을 진압할 시간을 벌어주는 것이었다.[7]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이 기간 동안 반란을 진압하지 못했고, 상황은 불개입주의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었다. 1825년 12월, 알렉산드르 1세가 사망하고 니콜라이 1세가 러시아 왕위를 계승하면서 외교적 지형이 변화했다. 러시아 민족주의 성향이 강했던 니콜라이 1세는 이전보다 더 단호한 입장을 취했다.

이에 영국 정부는 러시아의 팽창주의를 억제하기 위해 공동 개입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1827년 7월 6일,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런던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교전 당사자 간의 즉각적인 휴전을 요구했는데, 이는 사실상 오스만 제국이 승리하기 직전의 상황에서 그리스에 대한 군사 작전 중단을 요구한 것이었다. 또한, 휴전 이후 최종 해결을 위한 협상에서 연합국의 중재를 제공했다.[8] 조약은 오스만 제국이 그리스에 어느 정도 자율성을 부여하되, 궁극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 두는 것을 예상했다.[9]

조약의 비밀 조항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이 한 달 안에 휴전을 수락하지 않으면 각 서명국은 영사를 나플리온에 파견하여 헬레닉 공화국 정부를 사실상 승인할 수 있었다.[10] 또한, 서명국들은 지중해 해군 사령관들에게 오스만 제국이 지정된 시간 안에 조약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군사 행동을 포함한 "상황이 제안하는 모든 조치"를 취할 권한을 부여했다. 그러나 연합군 사령관은 분쟁에서 어느 한쪽 편을 들어서는 안 된다는 조항도 있었다.[11]

1827년 8월 20일, 영국 해군 지중해 사령관이자 트라팔가 해전의 영웅인 에드워드 코드리턴 경이 조약 시행에 관한 지시를 받았다. 그는 44년간의 해상 경력을 가진 베테랑이었지만, 외교적 수완이 부족하고 충동적인 성격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또한 그리스의 독립에 대해 동정심을 가지고 있었다.[12]

당시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 (터키)의 식민지였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을 일으켰다. 이 전쟁은 영국과 프랑스에서 상당한 국민적 지지를 얻었다. 러시아는 이전부터 터키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그리스와 러시아는 그리스 정교회러시아 정교회가 비록 세부적인 종파 차이는 있지만 같은 정교회 국가라는 종교적 연대감으로 그리스에 우호적이었다. 따라서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그리스 독립 전쟁에 개입하여 그리스 측에 서서 참전했고, 해군 함대 등 연합군을 파견했다. 이 3국 연합 함대는 영국군 사령관 에드워드 코드리턴의 지휘를 받았다.

반면 터키 측은 해상 봉쇄를 결정하고, 본국군 외에 사실상 식민지군이었던 이집트군까지 동원하여 방어에 나섰다. 터키-이집트 연합 함대는 지중해 이오니아해,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나바리노 만에 집결하여 철저한 항전을 시작했다. 터키-이집트군은 당시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 왕조 국왕 겸 터키의 이집트 총독이브라힘 파샤가 지휘했다. 그리고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군이 이곳으로 진입하면서 나바리노 해전이 시작되었다.

3. 열강의 외교와 런던 조약

1825년 12월, 알렉산드르 1세가 사망하고 니콜라이 1세가 러시아의 왕위를 계승하면서 외교적 지형이 변화했다. 니콜라이 1세는 형보다 더 단호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인물이었으며, 훨씬 더 러시아 민족주의적인 성향을 보였다. 이러한 상황 변화에 영국 정부는 러시아의 팽창주의를 제한하기 위해 공동 개입으로 정책을 전환했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1827년 7월 6일 런던 조약을 체결했다.[8] 이 조약은 오스만 제국에게 그리스에 대한 군사 작전 중단과 휴전을 요구하고, 협상 중재를 제안했다. 또한 오스만 제국에게 그리스에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부여하되,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에 두도록 요구했다.[9]

조약의 비밀 조항에는 오스만 제국이 한 달 안에 휴전을 수락하지 않을 경우, 각 서명국이 나플리온에 영사를 파견하여 헬레닉 공화국 정부를 사실상 승인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10] 또한, 서명국들은 해군 사령관들에게 오스만 제국이 지정된 시간 내에 조약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상황이 제안하는 모든 조치"를 취하여 연합국의 요구를 강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단, 연합군 사령관은 분쟁에서 어느 한쪽 편을 들어서는 안 된다는 조건이 붙었다.[11]

1827년 8월 20일, 트라팔가 해전에서 활약한 지중해 사령관이자 블루 스쿼드론 소속 부제독인 에드워드 코드리턴 경이 조약 시행에 관한 정부 지시를 받았다. 그러나 그는 외교적 수완이 부족하고 그리스에 동정적인 인물이었기 때문에, 이 임무에 적합하지 않았다.[12]

3. 1. 열강의 불개입주의와 러시아의 입장 변화

그리스 반란이 시작된 이래 1826년까지, 영국과 오스트리아는 다른 열강들이 분쟁에 개입하지 않도록 하는 불개입주의 외교 정책을 펼쳤다.[6] 이들의 목표는 러시아가 그리스를 지원하기 위해 군사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막고, 오스만 제국이 반란을 진압할 시간을 벌어주는 것이었다.[7]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영국과 오스트리아가 확보해 준 긴 불개입 기간 동안 반란을 진압하지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진전을 보일 때쯤, 상황은 불개입주의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1825년 12월, 차르 알렉산드르 1세가 사망하고 그의 동생 니콜라이 1세가 러시아 왕위를 계승하면서 외교적 상황이 바뀌었다. 니콜라이 1세는 형보다 더 단호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인물이었으며, 훨씬 더 러시아 민족주의적인 성향을 보였다.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영국 정부의 대응은 러시아의 팽창주의를 억제하기 위해 공동 개입으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1827년 7월 6일 런던 조약을 체결했다. 조약은 교전 당사자 간의 즉각적인 휴전을 요구했으며, 이는 사실상 오스만 제국이 승리를 눈앞에 둔 상황에서 그리스에 대한 오스만 군사 작전 중단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또한 휴전 이후 진행될 최종 해결에 대한 협상에서 연합국의 중재를 제안했다.[8] 이 조약은 오스만 제국이 그리스에 어느 정도 자율성을 부여해야 하지만, 궁극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에 있어야 한다고 명시했다.[9]

조약의 비밀 조항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이 한 달 안에 휴전을 수락하지 않으면 각 조약 서명국은 영사를 나플리온에 파견하여 헬레닉 공화국 정부를 사실상 승인할 수 있었다. 이전까지 어떤 열강도 하지 않았던 일이었다.[10] 같은 조항은 서명국들이 지중해에 있는 해군 사령관들에게 오스만 제국이 지정된 시간 내에 조약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연합국의 요구를 시행하기 위해 "상황이 제안하는 모든 조치"(예: 군사 행동 포함)를 취하도록 지시할 권한을 부여했다. 그러나 이 조항은 연합군 사령관이 분쟁에서 어느 한쪽 편을 들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11] 1827년 8월 20일, 영국 해군의 지중해 사령관이자 블루 스쿼드론의 부제독인 에드워드 코드링턴 경은 44년간 해상 경력을 쌓은 베테랑이자 트라팔가 해전에서 활약하여 대중적인 영웅이 된 인물로, 조약 시행에 관한 정부의 지시를 받았다. 코드링턴은 상당한 외교적 수완을 필요로 하는 임무에 적합하지 않은 인물이었다. 충동적인 성격의 그는 외교적 기교가 전혀 없었고, 이는 그가 경멸하며 프랑스 측 상대방인 앙리 드 리니에게 조롱하며 귀속시키는 자질이었다. 그는 또한 런던 필헬레닉 위원회에 기부한 그리스의 대의에 동정적인 인물이기도 했다.[12]

3. 2. 런던 조약 체결 (1827년)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1827년 7월 6일 런던 조약을 체결했다.[8] 이 조약은 교전 당사자 간의 즉각적인 휴전을 요구했는데, 사실상 오스만 제국이 승리하기 직전에 그리스에 대한 오스만 군사 작전을 중단하라는 것이었다. 또한 휴전 이후 진행될 최종 해결 협상에서 연합국의 중재를 제안했다.[8] 이 조약은 오스만 제국이 그리스에 어느 정도 자율성을 부여해야 하지만, 궁극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에 두도록 요구했다.[9]

조약의 비밀 조항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이 한 달 안에 휴전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각 조약 서명국은 영사를 나플리온에 파견하여 헬레닉 공화국 정부를 사실상 승인하기로 되어 있었다.[10] 같은 조항은 서명국들이 지중해에 있는 해군 사령관들에게 오스만 제국이 정해진 기간 내에 따르지 않을 경우 연합국의 요구를 시행하기 위해 "상황이 제안하는 모든 조치"(군사 행동 포함)를 취하도록 지시할 권한을 부여했다. 그러나 연합군 사령관은 분쟁에서 어느 한쪽 편을 들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11] 1827년 8월 20일, 영국 해군 지중해 사령관이자 블루 스쿼드론의 부제독인 에드워드 코드링턴 경은 조약 시행에 관한 정부 지시를 받았다. 그는 44년간 해상 경력을 쌓았고 트라팔가 해전에서 활약하여 대중적인 영웅이 되었지만, 외교적 수완이 필요한 임무에는 적합하지 않은 인물이었다. 충동적인 성격의 그는 외교적 기교가 부족했고, 그리스의 대의에 동정심을 가진 사람이었다.[12]

3. 3. 에드워드 코드링턴의 임명

알렉산드르 1세가 사망하고 그의 동생 니콜라이 1세가 러시아 왕위를 계승하면서 외교 지형이 변화하였다. 니콜라이는 형보다 더 단호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인물이었으며, 훨씬 더 러시아 민족주의적이었다. 이러한 상황 변화에 대한 영국 정부의 대응은 러시아의 팽창주의를 제한하기 위해 공동 개입으로 이동하는 것이었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1827년 7월 6일 런던 조약을 체결했다.[8] 이 조약은 오스만 제국이 그리스에 어느 정도 자율성을 부여할 것을 요구했지만, 궁극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 남을 것을 예상했다.[9]

조약의 비밀 조항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이 한 달 안에 휴전을 수락하지 않을 경우 각 조약 서명국은 영사를 나플리온에 파견하여 헬레닉 공화국 정부를 사실상 승인할 수 있었다.[10] 같은 조항은 서명국들이 지중해에 있는 해군 사령관들에게 오스만 제국이 지정된 시간 내에 준수하지 않을 경우 연합국의 요구를 시행하기 위해 "상황이 제안하는 모든 조치" (예: 군사 행동 포함)를 취하도록 지시할 권한을 부여했다. 그러나 이 조항은 연합군 사령관이 분쟁에서 편을 들지 않아야 한다고 덧붙였다.[11] 1827년 8월 20일, 트라팔가 해전에서 활약한 베테랑이자 44년간 해상 경력을 가진 지중해 사령관 블루 스쿼드론 소속 부제독 에드워드 코드리턴 경은 조약 시행에 관한 정부의 지시를 받았다. 코드링턴은 상당한 외교적 수완을 필요로 하는 임무에 적합한 인물이 아니었다. 충동적인 성격의 그는 외교적 기교가 전혀 없었으며, 이는 그가 경멸하며 프랑스 측 상대방 앙리 드 리니에게 조롱하며 귀속시키는 자질이었다. 그는 또한 런던 필헬레닉 위원회에 기부한 그리스 대의에 동정심을 가진 사람이었다.[12]

4. 전력 비교

오스만 제국/이집트 함대의 정확한 전력은 파악하기 어렵다. 에드워드 코드링턴이 보고서에 포함한 수치는 그의 장교 중 한 명이 오스만 함대의 프랑스인 서기관 르텔리에에게서 얻은 것이다. 그러나 르텔리에가 오스만 주재 영국 대사에게 보낸 또 다른 보고서에는 2척의 프리깃함이 더 있고, 20척의 코르벳함/브리그함이 줄어들어 총 60척의 군함이 있다고 보고했다. 제임스는 오스만 함대의 "실질적인" 전력을 전열함 3척, 대형 프리깃함 15척, 코르벳함 18척으로 총 36척에 불과하다고 더 낮게 평가했다.

전투에 참가한 함정의 수로 보면 영국, 프랑스, 러시아 측이 전열함 11척, 프리깃함 9척, 소형함 4척이었고, 터키-이집트 측은 전열함 3척, 프리깃함 15척, 소형함 50척 이상으로 터키-이집트 측이 많았다. 그러나 함선의 질적 측면에서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군 측의 전력이 압도적으로 우수했다.[23]

나바리노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은 78척의 군함과 2,180문의 대포를 보유했다(소형 보트 및 화공선 제외).[25] 그러나 함선 종류, 대포 구경, 승무원 수준에서 연합군이 상당한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오스만-이집트 함대의 대부분은 소형 함선인 58척의 코르벳함과 브리그였으며, 이들은 연합군의 주력함에 대항하여 화력이 약했고, 갑판이 낮아 빗맞은 포격으로 쉽게 마스트가 부러질 수 있었다. 또한 오스만 제국은 주로 연합군보다 구경이 작은 대포를 배치했다.[26]

많은 경우 오스만 제국 승무원은 함선의 정원을 채우기 위해 강제 징집을 실시했다. 심지어 전투 후 일부 오스만 제국 승무원은 자리에 족쇄가 채워진 채 발견되었다.[26]

나바리노에서 오스만 제국 함대 중 가장 크고 가장 잘 갖춰진 이집트 파견대는 프랑스 장교팀에 의해 훈련받았다. 이 장교들은 각 이집트 함장의 조언자 역할을 하는 "그림자 함장" 역할을 했다.[27]

오스만 제국의 가장 위험한 무기는 화공선이었는데, 이들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그리스 혁명가들에 의해 오랫동안 파괴적인 효과를 발휘해 왔으며, 오스만 제국은 이를 통해 사용법을 배우게 되었다.[28]

오스만 제국은 나바리노 요새의 만 입구 양쪽과 스팍테리아 섬 남단에 해안 포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4. 1. 연합군 (영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함대 (부제독 에드워드 코드링턴)
함선등급해군함장사상자비고
사망부상총계
Asia2급 전열함84함장 에드워드 커존; 지휘관 로버트 램버트 베인스186785영국 함대의 기함, 연합 함대의 기함.
Genoa3급 전열함76함장 월터 배서스트; 지휘관 리처드 딕켄슨263359
Albion3급 전열함74함장 존 아크워스 오마니; 지휘관 존 노먼 캠벨105060
Glasgow5급 전열함50함장 명예 제임스 애슐리 모드022
Cambrian5급 전열함48함장 가웬 윌리엄 해밀턴, C.B.112
Dartmouth5급 전열함42함장 토머스 펠로스, C.B.6814
Talbot6급 전열함28함장 명예 프레데릭 스펜서61723
HMS Rose슬루프18지휘관 루이스 데이비스31518
HMS Brisk브리그 슬루프10지휘관 명예 윌리엄 앤슨123
브리그 슬루프10지휘관 조지 보훈 마틴246
브리그 슬루프10지휘관 헨리 체트윈드-탤벗178
커터10



프랑스 함대 (소장 앙리 드 리니)
함선등급해군함장사상자비고
사망부상총계
브레스라우2급 전열함84함장 보테렐 드 라 브레토니에르11415
시피옹3급 전열함80함장 피에르 베르나르 밀리우스23638
트라이던트3급 전열함74함장 모리스077
시렌1급 프리깃60해군 소장 앙리 드 리니, 함장 로버트24244프랑스 함대의 기함.
아르미드2급 프리깃44함장 위곤142943
알시오네스쿠너10 to 16함장 터핀1910
다프네스쿠너6함장 프레지어156



러시아 함대 (해군 소장 로데베이크 판 하이덴)
함선등급해군함장사상자비고
사망부상총계
강구트2급 전열함84함장 알렉산드르 파블로비치 아비노프143751전투 중 표트르 안주 중위가 두각을 나타냈다.
아조프3급 전열함80함장 미하일 라자레프246791러시아 함대의 기함.
이에제키엘3급 전열함80함장 스빈킨131831
알렉산드르 넵스키3급 전열함80함장 보그다노비치5712
프로보르니5급48함장 예판친347
콘스탄틴5급44지휘관 흐루시초프011
엘레나5급38함장 예판친055
카스토르5급36함장 시틴000



동맹국 해군은 돛단배, 무장하지 않은 나무 선체, 그리고 머즐 로딩 활강포를 사용하는 등 나폴레옹 전쟁 당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영국 해군은 증기 추진, 철갑 선체, 강선총 및 폭발성 포탄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무시했는데, 이 모든 기술은 1827년까지 발명되었지만 해군 수뇌부의 완강한 반대로 도입되지 못했다.[23]

그러나 영국 해군의 군함은 몇 가지 개선을 거쳤다. 넬슨과 같은 삼층 갑판을 가진 배는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표준형은 프랑스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이층 74-84척의 전열함이었다. 포구경도 업그레이드되어, 모든 포는 24파운드 또는 32파운드포였고, 상부 구조에는 68파운드 카로네이드가 추가되었다. 프리깃은 50-60문의 포를 가진 이층 갑판(대형 프리깃) 또는 24-44문의 포를 가진 단일 갑판이었다.[23]

대부분의 동맹국 선박은 여전히 나폴레옹 시대의 군함이었다. 코드링턴의 유일한 ''카노푸스''급은 그의 기함 ''Asia''였고, ''Genoa''도 나폴레옹 이후의 배였다(1816년). 프랑스 함대에서 리니는 세 척의 전열함 상태에 경악하여, 현대적인 프리깃인 ''시렌''에 자신의 깃발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24]

4. 2. 오스만-이집트 연합군

إيالة مصر|이얄레트 마스르ar와 دولت عليه عثمانيه|데블렛 알리예 오스마니예ota 연합군은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그리스를 재정복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 술탄이 이집트 총독 무함마드 알리 파샤에게 요청하여 파견되었다. 술탄은 그 대가로 펠로폰네소스를 알리의 아들 이브라힘 파샤에게 세습 영지로 주기로 약속했다.[4] 이브라힘 파샤는 16,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펠로폰네소스에 상륙하여 서부를 장악했으나, 동부 지역 점령에는 실패했다.[4]

제1 헬레니 공화국의 군대는 오스만 제국 및 이집트 군에 비해 열세였다. 1827년 그리스 정규군은 5,000명 미만이었고, 중앙 그리스에는 25,000명의 오스만 군, 펠로폰네소스에는 15,000명의 이집트 군이 있었다.[5]

오스만-이집트 함대의 정확한 전력은 파악하기 어렵다. 르텔리에가 오스만 주재 영국 대사에게 보낸 보고서에는 군함이 총 60척이라고 보고했다. 제임스는 오스만 함대의 "실질적인" 전력을 전열함 3척, 대형 프리깃함 15척, 코르벳함 18척으로 총 36척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함선등급해군지휘관사상자 (전사)사상자 (부상)사상자 (총계)비고
기우 레완3등급84 오스만 제국~650기함, 총사령관
파티 바흐리3등급74 오스만 제국기함
부르즈 자페르3등급70 오스만 제국~400
페브즈 누스라트2층 프리깃64 오스만 제국
카이드 자페르2층 프리깃64 오스만 제국
케이완 바흐리2층 프리깃48 오스만 제국
페이즈 미'라지2층 프리깃48 오스만 제국
메즈라 자페르2층 프리깃48 오스만 제국
게리에르2층 프리깃60 이집트 에야레트기함 모하렘 베이
이산야2층 프리깃64 이집트 에야레트기함 하센 베이
수르야2층 프리깃56 이집트 에야레트
레오네2층 프리깃60 이집트 에야레트
8척의 단층 프리깃, 30척의 코르벳, 5척의 스쿠너, 28척의 브리그, 그리고 5~6척의 방화선. 코르벳과 브리그는 1,134문의 포를 탑재했다.



이브라힘 파샤, 펠로폰네소스 원정 이집트 원정대의 사령관.


나바리노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은 78척의 군함과 2,180문의 대포를 보유했다(소형 보트 및 화공선 제외).[25] 그러나 함선 종류, 대포 구경, 승무원 수준에서 연합군이 상당한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오스만-이집트 함대의 대부분은 소형 함선인 58척의 코르벳함과 브리그였으며, 이들은 연합군의 주력함에 대항하여 화력이 약했고, 갑판이 낮아 빗맞은 포격으로 쉽게 마스트가 부러질 수 있었다. 또한 오스만 제국은 주로 연합군보다 구경이 작은 대포를 배치했다.[26]

많은 경우 오스만 제국 승무원은 함선의 정원을 채우기 위해 강제 징집을 실시했다. 심지어 전투 후 일부 오스만 제국 승무원은 자리에 족쇄가 채워진 채 발견되었다.[26]

나바리노에서 오스만 제국 함대 중 가장 크고 가장 잘 갖춰진 이집트 파견대는 프랑스 장교팀에 의해 훈련받았다. 이 장교들은 각 이집트 함장의 조언자 역할을 하는 "그림자 함장" 역할을 했다.[27]

오스만 제국의 가장 위험한 무기는 화공선이었는데, 이들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그리스 혁명가들에 의해 오랫동안 파괴적인 효과를 발휘해 왔으며, 오스만 제국은 이를 통해 사용법을 배우게 되었다.[28]

오스만 제국은 나바리노 요새의 만 입구 양쪽과 스파크테리아 섬 남단에 해안 포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5. 전투 전개

코드링턴의 함대는 10월 4일 오스만 증원군이 파트라스에 도달하는 것을 막았다.


부제독 에드워드 코드링턴의 지시는 양측에 휴전을 강제하고, 소아시아와 이집트에서 그리스 주둔 오스만군으로의 병력 및 물자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었다. 그는 최후의 수단으로만 무력을 사용해야 했다.[14] 8월 29일, 오스만 제국런던 조약의 조항을 공식적으로 거부했고, 9월 2일 그리스 임시 정부는 휴전을 수락했다.[15]

나바리노 만은 펠로폰네소스 반도 남서부 메세니아 서해안에 위치한 큰 자연 항구이다. 만은 길고 좁은 섬인 스팍테리아에 의해 외해로부터 보호받는다. 그리스 반란 기간 동안 만은 오스만 해군이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주요 작전 기지로 사용했다.

영국과 프랑스 해군의 경고를 받고 그리스에서 멀리 떨어진 대규모 오스만-이집트 함대는 1827년 8월 5일 알렉산드리아를 떠나 9월 8일 나바리노에서 다른 오스만 부대와 합류했다.[16] 이에 대응하여 코드링턴은 9월 12일 나바리노 해역에 그의 함대를 이끌고 도착했다. 9월 25일 이브라힘 파샤와 오스만 제독과의 회담에서 그는 육상 및 해상에서의 공격 작전을 중단하겠다는 구두 약속을 받아냈다.[17]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곧 이러한 합의를 위반했다. 이브라힘은 자신이 휴전을 지켜야 하는 동안 코드링턴이 그리스군이 아무런 방해 없이 군사 작전을 계속하도록 허용한 것에 격분했다. 해상에서는 프랭크 아브니 헤이스팅스가 증기선 카르테리아를 사용하여 9월 29/30일 밤 이테아를 기습하여 오스만 포격함 9척을 격침시켰다.[18]

코드링턴에게 헛된 항의를 한 후 이브라힘은 10월 1일, 파트라스 주둔군을 증원하기 위해 해군 함대를 파견했지만 코드링턴의 함대에 의해 요격되어 나바리노로 되돌아갔다. 이브라힘은 10월 3/4일 밤에 다시 시도했지만, 강한 역풍으로 인해 만에 들어가지 못하고 파파스 곶의 바람 아래에 닻을 내리고 폭풍을 기다려야 했다. 코드링턴은 10월 4일 저녁 파파스 곶 해역에 도착하여 일련의 경고 사격을 했고, 이브라힘은 마지못해 되돌아가기로 결정했다.[19]

그동안 이브라힘의 초토화 작전은 육지에서 멈추지 않고 계속되었다. 불타는 마을과 밭의 불길이 연합군 함선에서 해상으로 뚜렷하게 보였다. 영국 상륙 부대는 메세니아 인구가 대량 기아 상태에 근접했다고 보고했다.[20]

10월 13일, 코드링턴은 나바리노 해역에서 프랑스 함대와 러시아 함대와 합류했다. 10월 18일, 이브라힘 파샤와 접촉하려는 헛된 시도 끝에 코드링턴은 연합군 동료들과 회의를 갖고 나바리노 만으로 들어가 오스만/이집트 함대와 마주보고 배를 정박시키기로 결정했다. 겨울이 다가오면서 나바리노에 대한 효과적인 봉쇄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인구를 보호해야 한다는 결론이었다.[21] 이것은 매우 도발적인 행위였지만, 코드링턴은 전투를 벌일 의도가 전혀 없었으며, 오스만 제국이 휴전을 존중하고 민간인에 대한 잔학 행위를 중단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무력 시위를 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22]

나바리노 해전 연합군 총사령관 에드워드 코드링턴 경 부제독


당시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 (터키)의 식민지였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했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그리스 독립 전쟁에 개입하여 그리스 측에 서서 참전했고, 영국군 사령관 에드워드 코드링턴의 지휘하에 연합 함대를 파견했다.

터키 측은 해상 봉쇄를 결정하고, 터키 본국군 외에 이집트군까지 동원하여 방어에 나섰다. 터키-이집트 연합 함대는 나바리노 만에 집결하여 철저한 항전을 시작했다. 터키-이집트군은 이브라힘 파샤가 지휘했다.

전투가 시작되자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군은 터키-이집트 연합군에 대해 선제 공격을 받았고, 이에 반격을 시작했다. 연합군의 우수한 화력과 사격술 덕분에 전투는 소모전 양상을 띠었고, 결국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다.

5. 1. 오스만-이집트 함대의 배치

나바리노 만 지도. 전투 대형 다이어그램에는 부정확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레텔리에가 제안한 방어 계획에 따라, 오스만-이집트 함대는 뉴 나바리노 요새에서 스팍테리아 섬 남단까지 이어진 세 줄의 말굽 형태로 닻을 내렸다. 해안에는 오스만 해안 포대가 있었다. 전열은 전열함과 대형 프리깃으로 구성되었고, 2열은 나머지 프리깃과 대형 코르벳으로 구성되었으며, 3열은 나머지 소형 선박으로 구성되었다. 소형 선박이 연합군의 공격으로부터 대형 함선의 보호를 받으면서 전선의 틈새로 사격할 수 있다는 것이 이 계획의 핵심이었다. 말굽의 양쪽 끝에는 코르벳과 화공선이 배치되었다.[30] 화공선은 소형 코르벳과 해안 포대의 엄호 아래 보트에 의해 위치로 예인될 수 있었다.[31][32]

5. 2. 연합군의 진입

1827년 10월 20일 오후 1시 30분, 나바리노 만 입구에서 에드워드 코드링턴은 연합 함대에 "교전을 준비하라"는 신호를 보냈고, 연합군 승무원들은 무기를 잡으라는 명령을 받았다.[35] 포문은 반쯤 열어두었지만, 연합군 함장들은 공격을 받지 않는 한 발포하지 말라는 엄격한 명령을 받았다. 오후 2시, 코드링턴이 기함인 ''아시아''를 선두로 연합 군함들은 남쪽 입구를 통해 만으로 진입하기 시작하여 두 줄로 진행했다. 영국 함선들은 프랑스 함선들의 오른쪽(동남쪽, 나바리노에 가장 가까움)을 따라갔고, 러시아 함선들은 프랑스 함선들의 약간 뒤쪽에서 나란히 왼쪽에 위치했다.[35] 오스만 제국 해안 포대나 입구에 배치된 코르벳함은 그들의 진입을 막으려 하지 않았지만, 코드링턴은 이브라힘 파샤로부터 메시지를 담은 작은 배를 받았다. 이 메시지는 그가 연합군의 만 진입을 허가하지 않았으며 철수를 요구한다는 내용이었다. 코드링턴은 이브라힘의 반대에 대해 무시하며, 그는 명령을 내리기 위해 왔지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고 답했다. 그는 오스만 제국이 발포하면 그들의 함대가 파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35][36]

전투 중 근접전. 이 그림은 코드링턴의 기함인 HMS ''아시아''(중앙, 블루 앤사인 깃발 게양)가 동시에 두 척의 오스만 제국 기함을 파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반 아이바조프스키의 '나바리노 해전'으로, 러시아 함대(왼쪽 중앙, 파란 가로 십자가가 있는 흰색 깃발)가 오스만 제국 함대(오른쪽, 붉은 깃발)를 폭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코드링턴은 기함이 오스만 제국 함대 한가운데에 닻을 내리자, 평화로운 의도를 강조하기 위해 갑판에서 브라스 밴드에게 연주를 지시했다. 오후 2시 15분까지, 세 척의 영국 전열함은 지정된 위치에 닻을 내렸다.[37] 한편, 연합 함선들이 자리를 잡으면서 오스만 제국 함선에서는 나팔이 전투 배치를 알렸다. 오스만 제국 승무원들은 예상치 못한 기습에 대처하기 위해 서둘러 움직였다.

이 시점에서 입구에서 교전이 시작되었다. 코드링턴은 적대 행위가 오스만 제국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연합군 측의 주장에 따르면, 교전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발생했다.[38]

만 입구에서, 프리깃 ''다트머스''의 캡틴 토머스 펠로스는 6척의 소형 함선(2척의 브리그와 4척의 스쿠너)과 함께 오스만 제국 함대의 좌측에 있는 오스만 제국 코르벳함과 화공선을 감시하도록 지시받았다. 연합 함선들이 만으로 계속 진입하자, 펠로스는 오스만 제국 승무원들이 화공선을 준비하는 것을 보고, 중단하라는 지시를 하기 위해 보트를 보냈다. 오스만 제국은 보트에 발포하고 화공선에 불을 붙였다. 펠로스는 커터를 보내 화공선을 안전한 거리로 끌어내려 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커터에 발포하여 사상자를 냈다. 펠로스는 자신의 부하들을 보호하기 위해 화공선 승무원들에게 머스킷 사격을 가했다. 이 시점에서, 영국-프랑스 함대의 꼬리에 있는 프랑스 기함 ''시렌''은 ''다트머스''를 지원하기 위해 머스킷으로 발포했다. 오스만 제국 코르벳함은 그 후 ''시렌''을 포격으로 공격했다. 이 연쇄 반응은 함대 전체로 퍼져나갔고, 곧 전면적인 교전이 벌어졌다.[38]

전투는 연합군이 배치도 완료하기 전에 시작되었다. 이것은 일부 연합 함선들이 아직 닻을 내리지 않아 더 빠르게 기동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전술적 이점으로 작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함선들은 닻을 내린 상태에서 싸웠다. 함선의 방향을 닻줄을 당겨서 바꾸는 것 외에는 기동할 여지가 거의 없었다.[39] 함선들이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를 향해 포격을 가하면서, 이 교전은 주로 소모전의 양상을 띠었고, 연합군의 우수한 화력과 사격술이 결정적이었다.

5. 3. 전투 시작

1827년 10월 20일 오후 1시 30분, 나바리노 만 입구에서 에드워드 코드링턴 부제독은 연합 함대에 "교전을 준비하라"는 신호를 보냈고, 연합군 승무원들은 무기를 잡으라는 명령을 받았다.[35] 포문은 반쯤 열어두었지만, 연합군 함장들은 공격을 받지 않는 한 발포하지 말라는 엄격한 명령을 받았다. 오후 2시, 코드링턴이 기함인 ''아시아''를 선두로 연합 군함들은 남쪽 입구를 통해 만으로 진입하기 시작하여 두 줄로 진행했다. 영국 함선들은 프랑스 함선들의 오른쪽(동남쪽, 나바리노에 가장 가까움)을 따라갔고, 러시아 함선들은 프랑스 함선들의 약간 뒤쪽에서 나란히 왼쪽에 위치했다. 오스만 제국 해안 포대나 입구에 배치된 코르벳함은 그들의 진입을 막으려 하지 않았지만, 코드링턴은 이브라힘 파샤로부터 메시지를 담은 작은 배를 받았다. 이 메시지는 그가 연합군의 만 진입을 허가하지 않았으며 철수를 요구한다는 내용이었다. 코드링턴은 이브라힘의 반대에 대해 무시하며, 그는 명령을 내리기 위해 왔지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고 답했다. 그는 오스만 제국이 발포하면 그들의 함대가 파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35][36]

코드링턴은 기함이 오스만 제국 함대 한가운데에 닻을 내리자, 평화로운 의도를 강조하기 위해 갑판에서 브라스 밴드에게 연주를 지시했다. 오후 2시 15분까지, 세 척의 영국 전열함은 지정된 위치에 닻을 내렸다.[37] 한편, 연합 함선들이 자리를 잡으면서 오스만 제국 함선에서는 나팔이 전투 배치를 알렸다. 오스만 제국 승무원들은 예상치 못한 기습에 대처하기 위해 서둘러 움직였다.

이 시점에서 입구에서 교전이 시작되었다. 코드링턴은 적대 행위가 오스만 제국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연합군 측의 주장에 따르면, 교전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발생했다.

만 입구에서, 프리깃 ''다트머스''의 캡틴 토머스 펠로스는 6척의 소형 함선(2척의 브리그와 4척의 스쿠너)과 함께 오스만 제국 함대의 좌측에 있는 오스만 제국 코르벳함과 화공선을 감시하도록 지시받았다. 연합 함선들이 만으로 계속 진입하자, 펠로스는 오스만 제국 승무원들이 화공선을 준비하는 것을 보고, 중단하라는 지시를 하기 위해 보트를 보냈다. 오스만 제국은 보트에 발포하고 화공선에 불을 붙였다. 펠로스는 커터를 보내 화공선을 안전한 거리로 끌어내려 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커터에 발포하여 사상자를 냈다. 펠로스는 자신의 부하들을 보호하기 위해 화공선 승무원들에게 머스킷 사격을 가했다. 이 시점에서, 영국-프랑스 함대의 꼬리에 있는 프랑스 기함 ''시렌''은 ''다트머스''를 지원하기 위해 머스킷으로 발포했다. 오스만 제국 코르벳함은 그 후 ''시렌''을 포격으로 공격했다. 이 연쇄 반응은 함대 전체로 퍼져나갔고, 곧 전면적인 교전이 벌어졌다.[38]

전투는 연합군이 배치도 완료하기 전에 시작되었다. 이는 일부 연합 함선들이 아직 닻을 내리지 않아 더 빠르게 기동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전술적 이점으로 작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함선들은 닻을 내린 상태에서 싸웠다. 함선의 방향을 닻줄을 당겨서 바꾸는 것 외에는 기동할 여지가 거의 없었다.[39] 함선들이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를 향해 포격을 가하면서, 이 교전은 주로 소모전의 양상을 띠었고, 연합군의 우수한 화력과 사격술이 결정적이었다.

5. 4. 전투 경과

1827년 10월 20일 오후 1시 30분, 에드워드 코드링턴 부제독은 연합 함대에 "교전을 준비하라"는 신호를 보냈고, 연합군 승무원들은 무기를 잡으라는 명령을 받았다.[35] 포문은 반쯤 열어두었지만, 연합군 함장들은 공격을 받지 않는 한 발포하지 말라는 엄격한 명령을 받았다. 오후 2시, 코드링턴이 기함인 ''아시아''를 선두로 연합 군함들은 남쪽 입구를 통해 만으로 진입하기 시작하여 두 줄로 진행했다. 영국 함선들은 프랑스 함선들의 오른쪽(동남쪽, 나바리노에 가장 가까움)을 따라갔고, 러시아 함선들은 프랑스 함선들의 약간 뒤쪽에서 나란히 왼쪽에 위치했다. 오스만 제국 해안 포대나 입구에 배치된 코르벳함은 그들의 진입을 막으려 하지 않았지만, 코드링턴은 이브라힘 파샤로부터 메시지를 담은 작은 배를 받았다. 이 메시지는 그가 연합군의 만 진입을 허가하지 않았으며 철수를 요구한다는 내용이었다. 코드링턴은 이브라힘의 반대에 대해 무시하며, 그는 명령을 내리기 위해 왔지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고 답했다. 그는 오스만 제국이 발포하면 그들의 함대가 파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35][36]

코드링턴은 기함이 오스만 제국 함대 한가운데에 닻을 내리자, 평화로운 의도를 강조하기 위해 갑판에서 브라스 밴드에게 연주를 지시했다. 오후 2시 15분까지, 세 척의 영국 전열함은 지정된 위치에 닻을 내렸다.[37] 한편, 연합 함선들이 자리를 잡으면서 오스만 제국 함선에서는 나팔이 전투 배치를 알렸다. 오스만 제국 승무원들은 예상치 못한 기습에 대처하기 위해 서둘러 움직였다.

이 시점에서 입구에서 교전이 시작되었다. 코드링턴은 적대 행위가 오스만 제국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연합군 측의 주장에 따르면, 교전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발생했다.

만 입구에서, 프리깃 ''다트머스''의 캡틴 토머스 펠로스는 6척의 소형 함선(2척의 브리그와 4척의 스쿠너)과 함께 오스만 제국 함대의 좌측에 있는 오스만 제국 코르벳함과 화공선을 감시하도록 지시받았다. 연합 함선들이 만으로 계속 진입하자, 펠로스는 오스만 제국 승무원들이 화공선을 준비하는 것을 보고, 중단하라는 지시를 하기 위해 보트를 보냈다. 오스만 제국은 보트에 발포하고 화공선에 불을 붙였다. 펠로스는 커터를 보내 화공선을 안전한 거리로 끌어내려 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커터에 발포하여 사상자를 냈다. 펠로스는 자신의 부하들을 보호하기 위해 화공선 승무원들에게 머스킷 사격을 가했다. 이 시점에서, 영국-프랑스 함대의 꼬리에 있는 프랑스 기함 ''시렌''은 ''다트머스''를 지원하기 위해 머스킷으로 발포했다. 오스만 제국 코르벳함은 그 후 ''시렌''을 포격으로 공격했다. 이 연쇄 반응은 함대 전체로 퍼져나갔고, 곧 전면적인 교전이 벌어졌다.[38]

따라서 전투는 연합군이 배치도 완료하기 전에 시작되었다. 사실, 이것은 전술적 이점으로 작용했는데, 이는 일부 연합 함선들이 아직 닻을 내리지 않아 더 빠르게 기동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함선들은 닻을 내린 상태에서 싸웠다. 함선의 방향을 닻줄을 당겨서 바꾸는 것 외에는 기동할 여지가 거의 없었다.[39] 함선들이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를 향해 포격을 가하면서, 이 교전은 주로 소모전의 양상을 띠었고, 연합군의 우수한 화력과 사격술이 결정적이었다.

나바리노 해전. 블라디미르 코소프
나바리노 해전. 블라디미르 코소프


전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스키피옹'' (80문)은 리니의 ''시렌'' (60문) 뒤에서, 양측의 이집트 프리깃, 해안 포대 및 화공선으로부터 격렬한 공격을 받았다. 화공선은 거의 치명적이었다. 화공선은 ''스키피옹''의 뱃머리 스피릿에 걸렸고, 돛이 불에 타서 상부 포갑판으로 불이 번졌다. 승무원들은 화약고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불길 속으로 뛰어들었지만, 필연적으로 끔찍한 화상을 입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수들은 계속해서 공격자에게 발포했다. ''스키피옹''은 자매함 ''트라이던트'' (74문)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면했는데, 이 배는 화공선에 밧줄을 연결하는 데 성공했고, ''다트머스''와 다른 두 척의 영국 보트의 도움을 받아 화공선을 멀리 끌어냈다.[29]
  • 리니의 ''시렌''은 64문 프리깃 ''이흐사니아''와 긴 결투를 벌였고, 결국 ''이흐사니아''는 폭발했다. ''시렌''은 상당한 사상자와 피해를 입었다. ''시렌''은 ''트라이던트''와 ''스키피옹''의 지원을 받아 나바리노 요새를 포격했고, 결국 해안 포대의 포격을 중단시켰다.[40]
  • 프랑스 ''브레스라우'' (84문)의 함장 보테렐 드 라 브레토니에르는 리니가 더 이상의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보고, 독자적으로 프랑스 대형에서 이탈하여 영국과 러시아 함대 사이, 만 중앙으로 이동하여 영국 ''알비온'' (74문)과 러시아 ''아조프'' (80문)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두 척 모두 어려운 상황이었다. 닻을 내리면서 오스만 제국 프리깃을 파괴한 ''알비온''은 세 척의 오스만 제국 전열함으로부터 동시에 공격을 받았다. 다행히 적의 사격술은 서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레스라우''의 개입은 나중에 ''알비온''의 함장에 의해 그의 함선을 파멸로부터 구한 것으로 인정받았다. ''브레스라우''는 오스만 제국 제독 타히르 파샤의 기함 ''기유 레완'' (84문)과 최소 4척의 프리깃을 파괴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41]
  • 코드리턴의 ''아시아'' (84문)는 오스만 제국 제독 카피탄 베이의 기함 ''파티 바흐리'' (74문)와 이집트 모하람 베이의 프리깃 ''게리에르'' (60문) 사이에 닻을 내렸다. 카피탄 베이가 발포했지만, 모하람 베이는 코드리턴에게 공격하지 않겠다는 말을 보냈다. 이로 인해 ''아시아''는 ''파티 바흐리''에 화력을 집중할 수 있었는데, ''파티 바흐리''는 상태가 좋지 않고 인원이 부족했다. ''아시아''의 치명적인 포격은 곧 ''파티 바흐리''를 무력화시켰다. 코드리턴은 그 후 통역관인 그리스인 P. 미켈리스를 모하람 베이와 협상하기 위해 보냈지만, 미켈리스는 배에 타는 순간 사살되었다. 그 후 ''게리에르''가 발포했지만, ''아시아''와 ''아조프''의 강력한 일제 사격으로 20분 만에 불타는 잔해로 변했다.[42] 그러나 ''아시아''는 오스만 제국 함대의 두 번째 및 세 번째 열에 있는 소형 보트들의 집중적인 공격으로 인해 심각한 사상자와 피해를 입었는데, 레텔리에가 계획한 대로 이 보트들은 전열의 틈새로 발포했다. 코드리턴은 또한 ''아시아''가 자매함 ''제노아''로부터 실수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고 생각했다.[43]
  • 반 헤이덴 휘하의 러시아인들은 계획대로 마지막으로 자리를 잡았다. 오스만 제국 초승달의 오른쪽에 위치한 그들의 위치는 가장 노출되어 있었다. 이 구역에서의 전투는 다른 곳보다 훨씬 더 치열했다. ''아조프''는 3척의 대형 프리깃과 1척의 코르벳함을 침몰시키거나 무력화시켰지만, 자신도 153발의 피탄을 받았으며, 그 중 여러 발은 물선 아래에 맞았다.[44]
  • 영국 프리깃 ''아르미드''와 ''탈보트''는 처음에는 다른 두 척의 프리깃이 자리를 비우고 늦게 도착하여 지원 없이 오스만 제국 우익의 프리깃과 섬 해안 포대를 상대해야 했다. 그들은 러시아 프리깃의 도착으로 파멸을 면했다.[45]
  • 소형 영국 및 프랑스 함선(브리그와 스쿠너 ''알시온'' 및 ''다프네'')은 프리깃 ''다트머스''의 전반적인 지휘하에 화공선 공격을 막는 중요한 임무를 맡았다. 그들의 성공은 완벽했다. ''스키피옹''에 대한 초기 화공선 공격을 제외하고, 전투 동안 단 한 척의 화공선도 목표물을 맞히지 못했다. 소형 함선 중 다수는 매우 돋보였으며, 전열함과 비례적으로 큰 사상자를 냈다.[46]


오후 4시경, 오스만 제국 전열함 3척과 첫 번째 열의 대형 프리깃 대부분이 격파되었다. 이로 인해 두 번째 및 세 번째 열에 있는 대량의 소형 함선들은 여전히 작전 중인 연합 전열함들의 먹잇감이 되었다. 그 후 벌어진 학살 동안, 코드리턴은 두 번이나 휴전을 명령하려 했지만, 그의 신호는 짙은 연기로 인해 보이지 않거나 전투의 열기 속에 무시되었다.[47] 그 후 두 시간 이내에, 오스만 제국 승무원들의 신호할 만한 용기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오스만 제국 함대가 파괴되었고, 코드리턴 자신도 자신의 전보에서 이를 칭찬했다. 4분의 3이 침몰했다. 많은 함선들이 돛대가 부러졌지만 여전히 떠 있었고 수리가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연합군에게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자체 승무원에 의해 폭파되거나 불태워졌다.[48]

나바리노 절벽 아래 오스만 제국 군함의 불타는 좌초된 선체. 오귀스트 마이어의 그림


이는 끔찍한 오스만 제국 및 이집트 사상자 수에 기여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불타거나 폭발하는 함선에 갇혔기 때문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는 자신의 위치에 묶여 있었다. 코드리턴에게 레텔리에가 보고한 오스만 제국 사상자는 약 3,000명이 사망하고 1,109명이 부상당했으며, 코드리턴은 그 반대가 더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총 78척의 오스만-이집트 함대 중, 단 8척만 항해 가능했다. 즉, 돛대가 부러진 전열함 1척, 프리깃 2척, 코르벳함 5척이었다.

연합군 사상자는 코드리턴에 따르면 181명이 사망하고 480명이 부상당했으며(코드리턴의 막내 아들인 미드쉽맨 H. 코드리턴 포함, 아버지 밑에서 ''아시아''에 복무, 중상을 입었지만 완전히 회복됨).[49] 여러 연합 함선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러시아 함선 ''아조프'', ''강구트'' 및 ''이에제키엘''은 무력화되었다. 세 척의 영국 전열함은 수리를 위해 영국으로 다시 보내야 했다.[50]

5. 5. 전투 결과

나바리노 해전은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군의 대승으로 끝났다. 연합군은 700명이 전사·부상한 반면, 터키-이집트 연합군은 4,000명이 사상하고 함정 60척이 격침되었다. 이 패배로 터키-이집트 연합군은 그리스에서 철수하기 시작했고, 그리스 독립 전쟁의 전황은 그리스 측과 연합군에게 유리하게 전환되었다. 이 해전은 그리스 독립 전쟁의 승리와 그리스의 독립으로 이어졌다.

6. 전투의 영향

나바리노 해전은 그리스 독립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 해전의 결과로 오스만 제국은 큰 타격을 입었고, 그리스는 독립을 향한 결정적인 발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1827년 10월 20일,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 함대가 오스만 제국이집트 연합 함대를 격파한 나바리노 해전으로 오스만 제국 해군은 거의 괴멸되었다. 이는 그리스 독립 전쟁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건이었다.[2]

이 전투에서 연합군은 700명이 전사하거나 부상당했고, 오스만-이집트 연합군은 4,000명이 사상하고 함정 60척이 격침되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은 그리스에서 군대를 철수하기 시작했고, 그리스 독립 전쟁은 연합군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2]

1828년,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전쟁을 선포했고(제11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1828-1829)), 러시아군은 오스만군을 격파하며 진격했다. 결국 오스만 제국은 항복하고 아드리아노폴 조약을 통해 그리스 자치를 수용했다. 그러나 그리스인들은 완전한 독립을 요구했고, 1830년 런던 의정서에서 연합군은 그리스의 독립을 승인했다. 이후 콘스탄티노플 조약 (1832)을 통해 그리스 왕국이 공식적으로 독립 국가로 인정받았다.[1]

6. 1. 오스만 제국의 피해

마흐무트 2세는 1808년부터 1839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었는데, 그리스 혁명을 진압하기 위해 8년간 노력했지만 실패했다.


축하 행사에도 불구하고, 술탄 마흐무트 2세는 여전히 중앙 및 남부 그리스의 요새에 약 4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오스만 제국이 런던 조약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하지 못한다면 그리스의 완전한 해방은 어려웠다.

1828년 8월, 알리는 펠로폰네소스에서 군대를 철수하는 데 동의했다. 이브라힘은 처음에는 아버지의 철수 명령을 따르기를 거부했지만, 8월 말 프랑스 군대가 나바리노 만에 상륙하여 모레아 원정을 시작한 직후에 결국 철수했다. 이집트군은 해전 1년 후인 1828년 10월에 마침내 떠났다. 프랑스군은 1828년 말까지 펠로폰네소스에 남아 있던 오스만 수비대를 제거했다.

6. 2. 연합군의 피해

주어진 이전 출력 결과는 '연합군의 피해' 섹션에 대한 내용이 아니며, 원본 소스에도 해당 정보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확한 분석입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 결과를 수정할 내용이 없으며, 원본 소스에 '연합군의 피해'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명시합니다.

6. 3. 그리스 독립에 미친 영향



나바리노 해전에서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술탄 마흐무트 2세는 여전히 ​​중앙 및 남부 그리스의 요새에 약 4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오스만 제국이 런던 조약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리스의 완전한 독립은 어려웠다.

1828년 4월,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전쟁을 선포하여 제11차 러시아-튀르크 전쟁 (1828-1829)을 시작했다. 10만 명의 러시아군은 루마니아 공국에서 오스만군을 격파하고 다뉴브 강을 건너 실리스트라, 바르나, 슈믈라 (불가리아)의 주요 오스만 점령 요새를 포위했다.

1828년 8월, 무함마드 알리는 펠로폰네소스에서 군대를 철수하는 데 동의했다. 이브라힘 파샤는 처음에는 아버지의 철수 명령을 거부했지만, 8월 말 프랑스 군대가 나바리노 만에 상륙하여 모레아 원정을 시작한 직후 철수했다. 이집트군은 해전 1년 후인 1828년 10월에 마침내 떠났다. 프랑스군은 1828년 말까지 펠로폰네소스에 남아 있던 오스만 수비대를 제거했다. 그 후 몇 달 동안 그리스군은 중앙 그리스를 다시 장악했다.

1832년 런던 회의에서 설립된 현대 그리스 국가(그리스 왕국)


1829년 9월, 러시아군이 오스만 술탄의 궁전에서 불과 40마일 떨어진 곳에 주둔하자 술탄은 항복했다. 아드리아노폴 조약을 통해 술탄은 런던 조약에 정의된 그리스 자치를 수용했다. 그러나 오스만의 육해상 재앙과 자체적인 군사적 성공에 힘입어 그리스인들은 완전한 독립을 요구했다. 마침내 1830년 런던 의정서에서 연합군은 오스만 종주권을 포기하고 그리스 독립을 받아들였다. 그해 말, 술탄은 콘스탄티노플 조약 (1832)에 서명하여 새로운 그리스 왕국을 독립 국가로 공식 인정했다.[1]

오스만 제국 (터키)의 식민지였던 그리스는 독립 전쟁을 일으켰고, 이것이 그리스 독립 전쟁이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그리스 독립 전쟁에 개입하여 그리스 측에 서서 참전했다. 해군 함대 등 연합군을 파견했고, 영국군 사령관 에드워드 코드리턴이 지휘했다.[2]

터키 측은 해상 봉쇄를 결정하고, 터키 본국군 외에 이집트군까지 동원하여 방어에 나섰다. 터키-이집트 연합 함대는 지중해 이오니아해,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나바리노 만에 집결하여 철저한 항전을 시작했다. 터키-이집트군은 이브라힘 파샤가 지휘했고,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군이 침입하면서 나바리노 해전이 시작되었다.[2]

전투에 참가한 함정의 수로는 터키-이집트 측이 많았지만, 영국, 프랑스, 러시아 측의 전력이 우수했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 군은 터키-이집트군과 교섭하려 했으나, 터키-이집트 연합군이 선제 공격을 가하여 반격을 시작했다.[2]

영국과 프랑스의 포격 성능이 압도적으로 높아 터키-이집트 연합군은 자군의 함정을 자침시키거나 불을 지르는 초토 작전을 했다. 수 시간 안에 터키-이집트군의 함정은 격침되었지만, 영국, 프랑스, 러시아 군의 함정은 격침되지 않았다.[2]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군은 700명이 전사·부상했고, 터키-이집트 연합군은 4,000명이 사상하고 함정 60척이 격침되었다. 터키-이집트 연합군은 그리스에서 철수하기 시작했고, 그리스 독립 전쟁의 전황은 그리스 측, 영국, 프랑스, 러시아 연합군에게 유리하게 전환되었다. 이 전투는 그리스의 독립으로 이어졌다.[2]

7. 전투 이후 논란과 평가

나바리노 해전 이후, 코드링턴은 이집트군에게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철수할 것을 강하게 요구했지만, 실제로 철수가 이루어지기까지는 1년이 걸렸다. 나바리노 해전 소식은 영국 대중들에게 코드링턴을 두 번이나 영웅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화이트홀의 고위 해군 및 외교 관계자들은 이 해전의 결과에 경악했다.[29] 그들은 코드링턴이 오스만 제국 함대와의 대결을 유발하여 명령을 심각하게 초과했으며, 그의 행동이 러시아의 침략에 저항하는 오스만 제국의 능력을 크게 손상시켰다고 판단했다.[29] 사교 모임에서 조지 4세 국왕은 이 해전을 "불운한 사건"이라고 언급했다고 한다.[29] 웰링턴이 총리가 된 1828년 1월, 런던에서 코드링턴의 정치적 입지는 더욱 위태로워졌다. 차르 니콜라이가 오스만 제국에 전쟁을 선포하면서 영국 정책 입안자들의 가장 큰 우려가 현실이 되었고, 이는 코드링턴에 대한 분노를 더욱 키웠다.[29]

처음에는 코드링턴의 대중적 인기가 매우 높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공식적인 불만을 드러내기 어려웠다. 해군성의 보복은 사소한 형태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코드링턴의 반복된 요청에도 불구하고, 해군성은 그가 노획한 오스만 제국 보물과 상품 판매로 얻은 전통적인 전리품을 그의 선원들에게 지급하는 것을 거부했다.[29] 한편, 웰링턴은 지중해 전역에서 코드링턴을 해임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될 때까지 기다렸다. 마침내 1828년 6월, 해군성은 코드링턴의 지휘권 해제를 발표했다(그는 8월에 후임자가 도착할 때까지 임시 지휘관으로 남아 있었다).[29] 국왕은 여론 때문에 코드링턴에게 바스 훈장 대십자 훈장이라는 최고의 명예를 수여해야 했지만, 해군성이 그의 남은 10년의 복무 기간 동안 그에게 다른 작전 지휘를 맡기지 않은 것은 그가 몰락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었다.[29]

코드링턴은 말년에 그리스에서의 자신의 행동을 변호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그의 적들은 그가 헬레노파일(그리스 애호)적 동정심 때문에 오스만 제국 함대의 파괴를 의도적으로 계획했다고 비난했고, 코드링턴은 이를 강력하게 부인했다. 문제는 그가 나바리노 만으로 진입하는 것이 해전을 초래할 것임을 알고 있었는지 여부였다. 증거는 엇갈린다. 한편으로는, 공격을 받을 경우에만 교전하라는 코드링턴의 함장들에 대한 명확한 명령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여동생에게 보낸 개인 서신이 있는데, 이는 그가 군사적 대결을 불가피하다고 생각했음을 시사한다.[29]

참조

[1] 논문 The Corsairs of North Africa
[2] 서적
[3]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The Struggle for Freedom from Ottoman Oppression and the Birth of the Modern Greek Nation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간행물 Treaty of London (1827)
[9] 간행물 Treaty of London (1827)
[10] 간행물 Treaty of London (1827)
[11] 간행물 Treaty of London (1827)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Letter to his senior officers from Codrington Sept 8 1827 London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간행물 Report to Codrington from Capt Hamilton (HMS|Cambrian|1797|6)
[21] 간행물 Protocol of conference of Allied commanders 18 Oct 1827
[22] 간행물 Codrington's report on battle to Admiralty 21 Oct 1827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간행물 Codrington's report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James (1837)
[37] 서적 Woodhouse (1965)
[38] 보고서 Codrington's report James (1837)
[39] 서적 Woodhouse (1965)
[40] 서적 Woodhouse (1965)
[41] 서적 Woodhouse (1965)
[42] 보고서 Codrington's report James (1837)
[43] 서적 Woodhouse (1965)
[44] 서적 Woodhouse (1965)
[45] 서적 Woodhouse (1965)
[46] 서적 Woodhouse (1965)
[47] 서적 Woodhouse (1965)
[48] 보고서 Codrington's report James (1837)
[49] 서적 Woodhouse (1965)
[50] 보고서 Codrington's report James (1837)
[51] 서적 Dakin (1973)
[52] 서적 Woodhouse (1965)
[53] 백과사전 Srez Kranj https://www.scribd.c[...] Administration of the Lexicon of Place Names of the Drava Banovina
[54] 간행물 Literarni sprehod po delu stare Ljubljane http://www.dlib.si/d[...]
[55] 웹사이트 Battle of Navarino https://web.archive.[...] ブリタニカ百科事典 2024-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